본문 바로가기
Forensics/CTF

[Memory] GrrCON 2015 #5

by 수픽 2021. 5. 5.

레지스트리 Key의 이름을 물어본다.

 

레지스트리는 시스템, 사용자, 프로그램, 서비스, 드라이버 등 PC 운용에 반드시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해둔 설정값의 집합이다.

 

레지스트리는 대부분 하이브라고 불리는 파일 세트에 들어가 있다.

Volatility 기능 중 하이브를 알기 위해서는 hivelist 명령어가 필요하다.

 

hivelist : 레지스트리 하이브의 물리 주소, 가상 주소, 경로를 포함한 이름 출력. 이때 나온 가상 주소가 특정 레지스트리에 대한 플러그인을 실행할 때 필요하다.

 

 

ntuser : 레지스트리의 HKEY_USERS에 해당하는 하이브파일 'C:₩Users₩' 사용자 폴더 에 사용자 계정마다 각각 존재한다. 하지만 파일은 사용자가 로그인되는 동안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ntuser.da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로그오프 이후 ntuser.dat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엑세스 해야 한다


여기까지 찾아봤는데..

Run 레지스트리재부팅 후에도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멀웨어가 사용하고 있는 레지스트리 Key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 다 부질없다

 

printkey : 레지스트리 키의 서비키, 값을 출력

-K 옵션 : 레지스트리 키의 경로를 입력하면 해당 레지스트리에 대해서만 정보를 가져옴

-o 옵션 : 가상 주소 입력하면 특정 하이브에 대해서만 탐색

경로 : \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printkey

두가지 key가 나오는데 3번 문제에서 나왔던 AnyConnect 악성코드 정보를 가지는 MrRobot이 답이다.

 

key : MrRobot